😀
fistkim TECH BLOG
  • Intro
  • 강의
    • Reactive Programming in Modern Java using Project Reactor
      • Reactor execution model 1
      • Reactor execution model 2
      • Reactor execution model 3 - parallelism
      • Reactor execution model 4 - overview
      • Transform
      • Combine
      • Side Effect Methods
      • Exception/Error handling
      • retry, retryWhen, repeat
      • BackPressure
      • Cold & Hot Streams
    • NEXTSTEP 클린코드 with java 9기
      • 정리노트
    • NEXTSTEP DDD 세레나데 2기
      • CH01 도메인 주도 설계 이해
      • CH02 크게 소리 내어 모델링 하기
      • CH03 도메인 주도 설계 기본 요소
      • CH04 도메인 주도 설계 아키텍처
      • CH05 도메인 이벤트
    • NEXTSTEP 인프라 공방 1기
      • 망 분리하기
      • 통신 확인하기
      • 도커 컨테이너 이해하기
      • [미션 1] 서비스 구성하기 실습
      • [미션 2] 서비스 배포하기 실습
      • 서버 진단하기
      • 어플리케이션 진단하기
      • [미션 3] 서비스 운영하기
      • 웹 성능 진단하기
      • 부하 테스트
      • k6
      • [미션 4] 성능 테스트
      • 리버스 프록시 개선하기
      • 캐싱 활용하기
      • [미션 5] 화면 응답 개선하기
      • Redis Annotation 및 설정
      • 인덱스 이해하기 & DB 튜닝
      • [미션 6-1] 조회 성능 개선하기
      • [미션 6-2] DB 이중화 적용
    • NEXTSTEP 만들면서 배우는 Spring 3기
      • CH01 올바른 방향 바라보기
      • CH02 HTTP 이해 - 웹 서버 구현
        • HTTP 파싱
        • HTTP 웹 서버 구현
      • CH03 MVC - @MVC 프레임워크 구현
        • Servlet 다시 짚기
        • Cookie, Session 다시 짚기
        • MVC 프레임워크 구현
      • CH04 나만의 라이브러리 구현
      • CH05 DI - DI 프레임워크 구현
      • CH06 Aspect OP
    • 스프링 시큐리티
      • 스프링 시큐리티 아키텍처
      • WebAsyncManagerIntegrationFilter
      • SecurityContextPersistenceFilter
      • HeaderWriterFilter
      • CsrfFilter
      • (+) 스프링 시큐리티 + JWT
      • (+) 마치며
    • 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 CH01 JVM 이해하기
      • (+) 클래스 로더 이해하기
      • CH02 바이트 코드 분석 및 조작
      • (+) jacoco
      • CH03 리플렉션
      • CH04 다이나믹 프록시
      • CH05 애노테이션 프로세서
    • 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다양한 방법
      • CH01 JUnit 5
      • CH02 Mockito
      • (+) Spy vs Mock
      • CH03 도커와 테스트
      • CH04 성능 테스트
      • (+) VisualVM
      • (+) 테스트 자동화
      • CH05 운영 이슈 테스트
      • CH06 아키텍처 테스트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CH01 인터넷 네트워크
      • CH02 HTTP 기본
      • CH03 HTTP 메서드 속성
      • CH04 HTTP 메서드 활용
      • CH05 HTTP 상태코드
      • CH06 HTTP 헤더1 - 일반 헤더
      • CH07 HTTP 헤더2 - 캐시와 조건부 요청
      • (+) HTTPS 원리
    •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 CH01 IOC 컨테이너
      • CH02 AOP
      • (+) 스프링 의존성 관리
      • (+) 생성자 주입 장점
    • 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 객체 생성
        • 싱글톤 패턴
        • 팩토리 메소드 패턴
        • 추상 팩토리 패턴
        • 빌더 패턴
        • 프로토타입 패턴
      • 구조
        • 어댑터 패턴
        • 브릿지 패턴
        • 컴포짓 패턴
      • 행동
        • (작성중)
    • 실전 Querydsl
      • CH01 프로젝트 환경구성
      • CH02 예제 도메인 모델
      • CH03 기본문법
      • CH04 중급 문법
      • CH05 실무활용 (스프링 데이터 JPA와 Querydsl)
      • CH06 스프링데이터JPA 가 제공하는 Querydsl 기능
      • (+) 별칭(alias)
      • (+) Slice 쿼리
    • 스프링 데이터 JPA
      • CH01 핵심개념이해 1
      • CH02 핵심개념이해 2
      • CH03 핵심개념이해 3
      • CH04 Spring Data Common
      • CH05 Spring Data JPA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 CH01 지연 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
      • CH02 컬렉션 조회 최적화
      • CH03 전체 정리
    •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 CH01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 CH02 쿠버네티스 알아보기
      • CH03 쿠버네티스 실습 준비
      • CH04 쿠버네티스 기본 실습
    • Flutter Provider Essential
      • CH01 Introduction
      • CH02 Provider Overview
      • CH03 TODO App
      • CH04 Weather App
      • CH05 Firebase Authentication App
    • Flutter Bloc Essential
      • CH01 Introduction
      • CH02 Bloc Overview
      • CH03 TODO App
      • CH04 Weather App
      • CH05 Firebase Authentication App
    • Flutter Advanced Course - Clean Architecture With MVVM
      • CH01 Introduction
      • CH02 Clean Architecture 4 Layer
      • CH03 MVVM
      • CH04 Data Layer
      • (+) Data Layer - response to model
      • (+) Data Layer - Network
      • CH05 Domain Layer
      • CH06 Presentation Layer
      • CH07 Application Layer
      • (+) Application Layer - l10n
      • (+) Application Layer - DI
      • (+) Application Layer - environment
    • 자바 알고리즘 입문
      • CH01 문자열
      • CH02 Array(1, 2 차원 배열)
      • CH03 Two pointers, Sliding window[효율성: O(n^2)-->O(n)]
      • CH04 HashMap, TreeSet (해쉬, 정렬지원 Set)
      • CH05 Stack, Queue(자료구조)
      • CH06 Sorting and Searching(정렬, 이분검색과 결정알고리즘)
      • CH07 Recursive, Tree, Graph(DFS, BFS 기초)
      • CH08 DFS, BFS 활용
      • CH09 Greedy Algorithm
      • CH10 dynamic programming(동적계획법)
  • 도서
    •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 학습목표
      • CH01 계층형 아키텍처의 문제는 무엇일까?
      • CH02 의존성 역전하기
      • CH03 코드 구성하기
      • CH04 유스케이스 구현하기
      • CH05 웹 어댑터 구현하기
      • CH06 영속성 어댑터 구현하기
      • CH07 아키텍처 요소 테스트하기
      • CH08 경계 간 매핑하기
      • CH09 어플리케이션 조립하기
      • CH10 아키텍처 경계 강제하기
      • CH11 의식적으로 지름길 사용하기
      • CH12 아키텍처 스타일 결정하기
    • 클린 아키텍처
      • 들어가며
      • 1부 소개
        • 1장 설계와 아키텍처란?
        • 2장 두 가지 가치에 대한 이야기
      • 2부 벽돌부터 시작하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3장 패러다임 개요
        • 4장 구조적 프로그래밍
        • 5장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6장 함수형 프로그래밍
      • 3부 설계 원칙
        • 7장 SRP: 단일 책임 원칙
        • 8장 OCP: 개방-폐쇄 원칙
        • 9장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 10장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11장 DIP: 의존성 역전 원칙
      • 4부 컴포넌트 원칙
        • 12장 컴포넌트
        • 13장 컴포넌트 응집도
        • 14장 컴포넌트 결합
      • 5부
        • 15장 아키텍처란?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 CH01 사람을 사랑한 기술
      • CH02 자바와 절차적/구조적 프로그래밍
      • CH03 자바와 객체 지향
      • (+) 자바 코드 실행에 따른 메모리 적재과정
      • CH04 자바가 확장한 객체 지향
      • CH05 객체 지향 설계 5 원칙 - SOLID
      • CH06 스프링이 사랑한 디자인 패턴
      • CH07 스프링 삼각형과 설정 정보
      • (부록) 람다(lambda)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CH01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 CH02 이상한 나라의 객체
      • CH03 타입과 추상화
      • CH04 역할, 책임, 협력
      • CH05 책임과 메시지
      • CH06 객체 지도
      • CH07 함께 모으기
      • (+) 인터페이스 개념 바로잡기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CH01 도메인 모델 시작하기
      • CH02 아키텍처 개요
      • CH03 애그리거트
      • CH04 리포지터리와 모델 구현
      • CH05 스프링 데이터 JPA를 이용한 조회 기능
      • CH06 응용 서비스와 표현 영역
      • CH07 도메인 서비스
      • CH08 애그리거트 트랜잭션 관리
      • CH09 도메인 모델과 바운디드 컨텍스트
      • CH10 이벤트
      • CH11 CQRS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CH01 JPA 소개
      • CH02 JPA 시작
      • CH03 영속성 관리
      • CH04 엔티티 매핑
      • CH05 연관관계 매핑 기초
      • CH06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 CH07 고급 매핑
      • CH08 프록시와 연관관계 관리
      • CH09 값 타입
      • CH10 객체지향 쿼리 언어
      • CH11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
      • CH12 스프링 데이터 JPA
      • CH13 웹 애플리케이션과 영속성 관리
      • CH14 컬렉션과 부가 기능
      • CH15 고급 주제와 성능 최적화
      • CH16 트랜잭션과 락, 2차 캐시
    • 소프트웨어 세상을 여는 컴퓨터과학
      • CH01 컴퓨터 과학 소개
      • CH02 데이터 표현과 디지털 논리
    • 이펙티브 자바
      • 1 장 들어가기
      • 2장 객체 생성과 파괴
        • [0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 [02]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 [03]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 [04]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 [05]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 [06]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 [07]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 [08] finalizer 와 cleaner 사용을 피하라
        • [09] try-finally 보다는 try-with-resources 를 사용하라
      • 3장 모든 객체의 공통 메서드
        • [10] equals는 일반 규약을 지켜 재정의하라
        • [11] equals 를 재정의하려거든 hashCode도 재정의하라
        • [12] toString 을 항상 재정의하라
        • [13] clone 재정의는 주의해서 진행하라
        • [14] Comparable 을 구현할지 고려하라
      • 4장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 [15] 클래스와 멤버의 접근 권한을 최소화하라
  • 토픽
    • 서버 모니터링
      • CPU 사용량
      • 메모리 사용량
      • 스레드 풀
    • Spring Boot Monitoring
      • Spring actuator
      • Spring eureka
      • Prometheus
      • grafana
      • Spring actuator + Prometheus + grafana
    • JAVA 데일리 토픽
      • 메모리 누수(memory leak)
      • 객체 참조의 유형
      • 커스텀 스레드 풀
      • Mark And Compact
      • serialVersionUID 이해하기
      • 함수형 인터페이스
      • 메소드 참조
      • equals()와 hashCode()가 무엇이고 역할이 무엇인지
      • StringBuffer vs StringBuilder
      • String vs StringBuilder, StringBuffer
      • String interning
    • JAVA GC
    •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 해시
      • 스택/큐
      • 힙(Heap)
      • 정렬
      • 완전탐색
      • DFS/BFS
    •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작동 흐름
    • 데이터베이스 JOIN 원리
    • 객체지향생활체조 원칙
    • 상태(state), 상속(inheritance), 합성(composition) 의 상관관계
    • java enum은 메모리에 언제, 어떻게 할당되는가
    • Checked Exception vs UnChecked Exception
    • Reactive Streams 원리탐구 - 간단한 예제 직접 작성해보기
    • Flutter Basic
    • Flutter StatefulWidget 생명주기
    • Flutter 가 위젯을 그리는 원리
    • Flutter 클린 아키텍처
      • application layer
        • 패키지 구조 및 레이어 설명
        • environment
        • dependency injection
        • go_router
        • foreground & background
        • 다국어처리 (l10n, i18n)
        • Global 처리(시스템 점검, fore->back 등)
        • connection_manager
        • permission_manager
        • push_notification_manager
        • firebase 연동
      • data layer
        • 패키지 구조 및 레이어 설명
        • network
        • repository
      • domain layer
        • 패키지 구조 및 레이어 설명
      • presentation layer
        • 패키지 구조 및 레이어 설명
        • resources
    • 기술 관련 포스팅 읽기
  • 기타
    • 작업일지
      • 2023. 10
      • 2023. 09
      • 2023. 08
      • 2023. 07
      • 2023. 06
      • 2023. 05
      • 2023. 04
      • 2023. 03
      • 2023. 02
      • 2023. 01
      • 2022. 12
    • Business Model
      •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 린 모바일 앱 개발
      • 린 스타트업
      • 제로투원
      • MIT 스타트업 바이블
      • 린치핀
    • 백로그 종합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 예시: @Override
  • 예시: Lombok
  •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원리
  •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실습
  •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장점
  1. 강의
  2. 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CH05 애노테이션 프로세서

PreviousCH04 다이나믹 프록시Next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다양한 방법

Last updated 1 year ago

컴파일 타임에 컴파일러가 어노테이션 정보를 참고해서 새로운 소스 코드, 바이트 코드, 리소스를 만들거나 조작한다. 대표적으로 Lombok이 있다.

예시: @Override

  • @Override

예시: Lombok

를 통해서 컴파일 타임에 특정한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소스코드를 참조해서 또 다른 소스코드를 만드는 방식이다.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소스코드를 참조’ 하는 방식은 소스코드의 를 에서 public 하게 제공하는 API 를 통해서 ‘참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롬복은 ‘참조’ 를 넘어서 조작이 가능한 타입으로 타입 캐스팅을 해서 코드의 변경까지 불러오기 때문에 ‘해킹’이라는 의견도 있다. 심지어 해킹이 맞긴 한거 같다.

It’s a total hack. Using non-public API. Presumptuous casting (knowing that an annotation processor running in javac will get an instance of JavacAnnotationProcessor, which is the internal implementation of AnnotationProcessor (an interface), which so happens to have a couple of extra methods that are used to get at the live AST).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원리

미리 META-INF에서 메타정보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가 지정이 된 상태에서 컴파일러가 소스 컴파일을 위해서 코드를 읽는다. 그러던 중 해당 어노테이션을 만나면 지정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들 중 처리하도록 지정되었는지 확인을 하게 되고, 만약 그 어노테이션이 특정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에 의해서 처리가 되어야 하는 어노테이션인 경우 컴파일 타임에 미리 정해진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의 처리대로 코드가 처리된다. 이게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처리를 한 문단으로 정리해서 표현한 것이다. 실습 코드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실습은 @Starbucks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여준 인터페이스가 있는 패키지에 makeCoffee()라는 메소드를 가진 클래스를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구현하는 것이다.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실습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SOURCE)
public @interface Starbucks {
}

사용해줄 Starbucks 어노테이션을 지정해주고 RetentionPolicy를 SOURCE 레벨로 지정해준다. 컴파일을 하는 타이밍에 소스레벨의 탐색에서 어노테이션을 탐지해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가 이를 참조하여 원하는 처리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package me.fistkim101;

import com.google.auto.service.AutoService;
import com.squareup.javapoet.ClassName;
import com.squareup.javapoet.JavaFile;
import com.squareup.javapoet.MethodSpec;
import com.squareup.javapoet.TypeSpec;

import javax.annotation.processing.*;
import javax.lang.model.SourceVersion;
import javax.lang.model.element.Element;
import javax.lang.model.element.ElementKind;
import javax.lang.model.element.Modifier;
import javax.lang.model.element.TypeElement;
import javax.tools.Diagnostic;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et;

@AutoService(Processor.class)
public class StarbucksProcessor extends AbstractProcessor {

    @Override
    public Set<String> getSupportedAnnotationTypes() {
        return Set.of(Starbucks.class.getName());
    }

    @Override
    public SourceVersion getSupportedSourceVersion() {
        return SourceVersion.latestSupported();
    }

    @Override
    public boolean process(Set<? extends TypeElement> annotations, RoundEnvironment roundEnv) {

        Set<? extends Element> elements = roundEnv.getElementsAnnotatedWith(Starbucks.class);
        for (Element element : elements) {
            if (element.getKind() != ElementKind.INTERFACE) {
                processingEnv.getMessager().printMessage(Diagnostic.Kind.ERROR, "me.fistkim101.Starbucks annotation only can be used for interface.");
            }

            TypeElement typeElement = (TypeElement) element;
            ClassName className = ClassName.get(typeElement);

            MethodSpec makeCoffee = MethodSpec.methodBuilder("makeCoffee")
                    .addModifiers(Modifier.PUBLIC)
                    .returns(String.class)
                    .addStatement("return $S", "Starbucks today’s coffee")
                    .build();

            TypeSpec starbucksCafe = TypeSpec.classBuilder("StarbucksCafe")
                    .addModifiers(Modifier.PUBLIC)
                    .addSuperinterface(className)
                    .addMethod(makeCoffee)
                    .build();

            Filer filer = processingEnv.getFiler();
            try {
                JavaFile.builder(className.packageName(), starbucksCafe)
                        .build()
                        .writeTo(filer);
            } catch (IOException e) {
                processingEnv.getMessager().printMessage(Diagnostic.Kind.ERROR, e.getMessage());
            }
        }

        // If {@code true} is returned, the annotation types are claimed and subsequent processors will not be asked to process them;
        return true;
    }
}

AbstractProcessor는 Processor 인터페이스를 implements하고 있고 이를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단계 추상화된 abstract class이다.

getSupportedAnnotationTypes의 경우 이 어노테이션 프로세서가 어떤 어노테이션을 지원할지를 정해주는 것이다. 나는 @Starbucks 라는 어노테이션에 이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적용시킬 것이므로 아까 만들어둔 @Starbucks를 지정했다.

getSupportedSourceVersion는 지원하는 자바의 버전에 대한 것인데 특별히 명시해주지 않을 경우 1.6이 반영된다.

process 에서 실질적으로 이 어노테이션 프로세서가 어떤 처리를 할지를 정해준다.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의 특징이 round 를 돌면서 결과물을 넘겨가며 처리하는 것인데, 마지막에 return 하는 boolean에서 true를 넘길 경우 이 어노테이션에 대한 처리는 여기서 끝내겠다는 의미가 된다.

그 외에는 인터페이스에서만 컴파일이 되도록 한 것과 원하는 메소드, 그 메소드를 가진 클래스를 만들고 이를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은 동일한 패키지에 클래스를 만들어 주는 처리를 해주었다.

Or can I only create a different class? That’s correct. The existing API doesn’t let us modify existing classes, just generate new ones.

이렇게 명료하게 요약이 된다.

@Starbucks에 대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만드는데 사용된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다.

    annotationProcessor group: 'com.google.auto.service', name: 'auto-service', version: '1.0-rc6'
    implementation group: 'com.google.auto.service', name: 'auto-service', version: '1.0-rc6'
    implementation group: 'com.squareup', name: 'javapoet', version: '1.11.1'

강의에서는 maven으로 진행하고 나는 gradle로 하느라고 좀 막혔었는데 auto-service를 annotationProcessor로 사용할 것이므로 annotationProcessor로 정의를 해주어야 한다. 여기까지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만드는 과정이었고 아래부터는 이를 활용하는 코드이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고 루트 패키지 내에 libs 라는 패키지를 만든다음 아까 만든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인 jar 파일을 넣어주고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잡아준다.

dependencies {
    annotationProcessor fileTree(dir: 'libs', include: '*.jar')
    implementation fileTree(dir: 'libs', include: '*.jar')

    annotationProcessor group: 'com.squareup', name: 'javapoet', version: '1.11.1'
}

그리고 아래와 같이 Cafe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여기에 아까만들어서 주입해준 @Starbucks를 붙여준다.

@Starbucks
public interface Cafe {

}

이렇게 하고 build를 해주면 Cafe 인터페이스가 위치한 패키지에 Starbucks.class 라는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에서 만들어준 클래스가 생기고 이 클래스 내부에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에서 지정해준대로 makeCoffee() 메소드가 들어가 있다. 이를 그대로 활용한다.

public class 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arbucksCafe starbucksCafe = new StarbucksCafe();
        System.out.println(starbucksCafe.makeCoffee());
    }
}
11:43:23 오후: Executing task 'App.main()'...

> Task :compileJava UP-TO-DATE
> Task :processResources NO-SOURC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App.main()
Starbucks today’s coffee

BUILD SUCCESSFUL in 478ms
2 actionable tasks: 1 executed, 1 up-to-date
11:43:24 오후: Task execution finished 'App.main()'.

이렇게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직접 커스텀 해서 local에서 라이브러리를 넣어주는 형식으로 실습해보았다.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장점

런타임 비용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런타임시에 동적으로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컴파일 단계에서 바이트 코드를 추가해두고 런타임시에는 그냥 컴파일된 코드를 읽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롬복과의 차이가 있는데 롬복은 기존의 코드를 조작해서 기존의 클래스 내부에 원하는 생성자, getter, setter등을 만들도록 했고 나는 그저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어 준 것이다. 내가 공개된 public 한 api만으로 이를 처리한 것이고 롬복이 위에서 설명한대로 hack 을 해서 코드를 조작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을 찾았는데,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8189980/how-do-annotations-like-override-work-internally-in-java/18202623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abstract syntax tree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롬복을 만드는데 참여한 개발자가 hack이라고 하니
여기에 관한 글
auto-service
javapoet